반응형
난 알고리즘이 아직도 이게 이해가 안간다...
문제
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찾아보자.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같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시작하자마자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회의의 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1 줄까지 각 회의의 정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진다.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은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첫째 줄에 최대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import sys
N = int(input())
times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for _ in range(N)]
seminars= sorted(times, key=lambda t: (t[1], t[0]))
answer = 0
end_time = 0
for seminar in seminars :
if end_time <= seminar[0] :
end_time =seminar[1]
answer += 1
print(answer)
반응형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가운데 글자 반환 (0) | 2020.11.06 |
---|---|
[프로그래머스] 죠르디의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 (0) | 2020.11.06 |
백준 11047번 동전 0 파이썬 (0) | 2020.10.29 |
버블 정렬(bubble sort) (0) | 2020.10.29 |
정렬(Sorting) 이란? (0) | 2020.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