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뒤집는 연산을 진짜 뒤집는 거로 연산하면, 시간초과가 발생한다.
항상 빈 예시에 유의하자.
문제
선영이는 주말에 할 일이 없어서 새로운 언어 AC를 만들었다. AC는 정수 배열에 연산을 하기 위해 만든 언어이다. 이 언어에는 두 가지 함수 R(뒤집기)과 D(버리기)가 있다.
함수 R은 배열에 있는 숫자의 순서를 뒤집는 함수이고, D는 첫 번째 숫자를 버리는 함수이다. 배열이 비어있는데 D를 사용한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다.
함수는 조합해서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를 수행한 다음에 바로 이어서 B를 수행하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RDD"는 배열을 뒤집은 다음 처음 두 숫자를 버리는 함수이다.
배열의 초기값과 수행할 함수가 주어졌을 때, 최종 결과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T는 최대 100이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수행할 함수 p가 주어진다. p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다음 줄에는 배열에 들어있는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0 ≤ n ≤ 100,000)
다음 줄에는 [x1,...,xn]과 같은 형태로 배열에 들어있는 수가 주어진다. (1 ≤ xi ≤ 100)
전체 테스트 케이스에 주어지는 p의 길이의 합과 n의 합은 70만을 넘지 않는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입력으로 주어진 정수 배열에 함수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만약,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error를 출력한다.
import collections
T= int(input())
for _ in range(T):
originD="D"
ans=True
ps=list(input())
n= int(input())
tmp = input()
arr= collections.deque(list(tmp[1:-1].split(",")))
#print(arr)
for p in ps:
if p =="R":
if originD=="D":
originD="RD"
else:
originD="D"
elif p =="D":
if len(arr)==0:
ans=False
print("error")
break
if originD=="D" :
if arr.popleft()=="":
ans=False
print("error")
break
else:
if arr.pop()=="":
ans=False
print("error")
break
if ans:
print("[", end="")
if originD=="RD":
arr=list(arr)[::-1]
print(*arr,sep=",", end="")
else:
print(*arr,sep=",", end="")
print("]")
반응형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파이썬 실버1 dfs 와 bfs 문제 (0) | 2020.12.28 |
---|---|
wip: 백준 1300번 K번째 수 (0) | 2020.12.23 |
백준 2110번 공유기 설치 파이썬 이분탐색 실버1 (0) | 2020.12.23 |
백준 2805번 나무 자르기 파이썬 실버3 이분탐색 (0) | 2020.12.23 |
백준 1654번 랜선 자르기 파이썬 실버3 이분탐색 (0) | 202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