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 포인터는 가운데 2개가 아니라, 양 끝임을 잊지 말자.
문제
n개의 서로 다른 양의 정수 a1, a2, ..., an으로 이루어진 수열이 있다. ai의 값은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자연수 x가 주어졌을 때, ai + aj = x (1 ≤ i < j ≤ n)을 만족하는 (ai, aj)쌍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열의 크기 n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수열에 포함되는 수가 주어진다. 셋째 줄에는 x가 주어진다. (1 ≤ n ≤ 100000, 1 ≤ x ≤ 2000000)
출력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쌍의 개수를 출력한다.
N = int(input())
ab = list(map(int, input().split()))
x= int(input())
ab.sort()
start,end=0,N-1
answer=0
while start >= 0 and end <N and start<=end:
tmp = ab[start]+ab[end]
if tmp>x:
end-=1
continue
elif tmp<x:
start+=1
continue
else:
if start != end:
answer+=1
if start<N-1:
start+=1
continue
else:
end-=1
continue
print(answer)
반응형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806번 부분합 파이썬 투 포인터 골드 4 (0) | 2021.01.07 |
---|---|
백준 2470번 두 용액 골드 5 파이썬 투 포인터 (0) | 2021.01.07 |
퀵 소트 (0) | 2021.01.06 |
삽입정렬(Insertion Sort) (0) | 2021.01.04 |
백준 1504번 특정한 최단 경로 파이썬 골드 4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wip (0) | 2021.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