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재귀보다는 가중치를 들고있는 while 문의 형태가 훨씬 안정적이고 메모리도 덜 잡아먹는 것 같다.

문제

N×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

1 0 1 1 1 1
1 0 1 0 1 0
1 0 1 0 1 1
1 1 1 0 1 1

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 (1, 1)에서 출발하여 (N, M)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N, M)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도 포함한다.

입력

첫째 줄에 두 정수 N, M(2 ≤ N, M ≤ 1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출력한다. 항상 도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M = map(int, input().split())
maps=[[0]*M]*N
for i in range(N):
    maps[i] = list(input())
import collections



def bfs(graph, start,N,M):
    dx=[0,0,1,-1]
    dy=[1,-1,0,0]
    answer=float('inf')

    will_visit=collections.deque([start])
  
    while will_visit:
        travel= will_visit.popleft()
        if answer<=travel[2]:
            continue
        
        if travel[0]==N-1 and travel[1]==M-1:
            answer = min(answer, travel[2])
        for  i in range(4):
            travel2=travel[:]
            travel2[0]+=dx[i]
            travel2[1]+=dy[i]
            if 0<=travel2[0]<N and  0<=travel2[1]<M and graph[travel2[0]][travel2[1]]=='1' and [travel2[0],travel2[1]] not in travel[-1]:
                travel2[2]+=1
                travel2[-1].append([travel2[0],travel2[1]])
                
                will_visit.append(travel2)

    return answer

    
print(bfs(maps, [0,0,1,[0,0]],N,M)   )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