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크기가 N×M인 지도가 존재한다. 지도의 오른쪽은 동쪽, 위쪽은 북쪽이다. 이 지도의 위에 주사위가 하나 놓여져 있으며, 주사위의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지도의 좌표는 (r, c)로 나타내며, r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2 4 1 3 5 6 주사위는 지도 위에 윗 면이 1이고,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이 3인 상태로 놓여져 있으며, 놓여져 있는 곳의 좌표는 (x, y) 이다. 가장 처음에 주사위에는 모든 면에 0이 적혀져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정수가 하나씩 쓰여져 있다. 주사위를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 있는 수가 0이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이번 시간에는 MyBatis-Spring-Boot-Starter 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yBatis-Spring-Boot-Starter(http://mybatis.org/spring-boot-starter/mybatis-spring-boot-autoconfigure/)를 참고했습니다. 다른 참고 문헌은 페이지 하단에 소개되어있습니다. 바쁘신 분들은 부터 참고하세요. 사용 라이브러리 lombok org.mybatis.spring.boot mybatis spring-boot mysql MyBatis란? 마이바티스는 개발자가 지정한 SQL , 저장 프로시저, 그리고 몇 가지 고급 매핑을 지원하는 퍼시스턴스 프레임워크입니다. 마이바이트는 JDBC 로 처리하는 상당 부분의 코드와 파라미터 설정, 결과..
목표 자바의 Input과 Ontput에 대해 학습하세요. 학습할 것 (필수) 스트림 (Stream) / 버퍼 (Buffer) / 채널 (Channel) 기반의 I/O InputStream과 OutputStream Byte와 Character 스트림 표준 스트림 (System.in, System.out, System.err) 파일 읽고 쓰기 입출력이란? 입출력(I/O)이란 Input 과 Output의 약자로 입력과 출력을 말한다. 즉, 컴퓨터 내부 또는 외부 장치와 프로그램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 예) 키보드로 데이터 입력받기, System.out.println() 을 이용해 화면에 출력하기 스트림, 버퍼, 채널 기반의 IO 스트림 FIFO 단방향이라 입력 스트림과 출력 스트림을 별도로 해야한..
Map은 key와 value를 쌍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 키는 중복될 수 없고, 값은 중복될 수 있다.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Iterator;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util.Set; public class MapExa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Key, Value가 모두 String 타입인 HashMap인스턴스를 만듭니다. Map map = new HashMap(); // key와 value값을 put으로 저장합니다. map.put("001", "kim"); map.put("002", "lee"); map.put("003", "choi"); // 같은 ke..
문제 구현 구간, 시간은 선형이다. 또한, 이러한, 공통 구간을 구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max(출발시간들), min(도착시간들)로 설정해서, 이것이 출발보다 도착이 빠르게 되는 조건이 부합하지 않을때, answer 에 1을 더하고, 새로 공통구간을 갱신하는 형태로 구현하면 된다. 나또한, 아직 익숙하지 않은 문제들. 암기가 필요하다. 문제 설명 고속도로를 이동하는 모든 차량이 고속도로를 이용하면서 단속용 카메라를 한 번은 만나도록 카메라를 설치하려고 합니다. 고속도로를 이동하는 차량의 경로 rout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차량이 한 번은 단속용 카메라를 만나도록 하려면 최소 몇 대의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차량의 대수는 1대 ..
문제 풀이 하노이의 탑의 원판이 n개일 때, 성공을 위한 최소 경우의 수는 2^n-1 이다. 이것은 이전에 (dp[n-1])*2+1 = dp[n] 이라는 결론에 다다를 수 있는데, 이전 스탭을 1➡3 의 목표를 1➡2 로 치환하고, 가장 큰 원판을 1➡3 으로 이동 시킨후, 이전 스탭의 목표(2) 를 3으로 옮기면 된다. (2➡3 ) 즉, 이것을 이전 리스트와 비교해 생각하자면, before step의 2➡3, 3➡2 한 결과물 1➡3 first step 의 1➡2,2➡3,3➡1 한 결과물 이라 보면 된다. 문제 설명 하노이 탑(Tower of Hanoi)은 퍼즐의 일종입니다. 세 개의 기둥과 이 기동에 꽂을 수 있는 크기가 다양한 원판들이 있고, 퍼즐을 시작하기 전에는 한 기둥에 원판들이 작은 것이 위..
blog.naver.com/kks227/220791986409 다양한 것을 봤지만 최종적으로 현재 이해한 것의 대부분은 여기서 왔다. 이 블로그 글을 보고 정리한 내용을 적는 것이기 때문에 아직 미숙한 나보다는 위의 링크에서 원글을 보고 이해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세그먼트 트리 핵심 : 구간들을 보존하고 있는 트리 = 각 노드가 구간 혹은 그 구간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보통 완전 이진 트리를 사용해 전체적으로 동일한 재귀구조가 반복되게 표현한다. 값의 개수가 2^n 개가 아닐때는 의미 없는 기본 값으로 채워 포화 이진 트리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n개의 값 -> 트리의 높이 log(N) 루트의 인덱스가 1부터 시작되며 레벨 오더 순번으로 노드 번호를 매겨서 자신의 부모, 왼쪽/오른쪽 자..
와 왜맞았지 맞고도 얼떨떨하다. 다시 공부해야하는 것이 틀림 없는 문제 문제 N(1 ≤ N ≤ 100,000)개의 정수들이 있을 때, a번째 정수부터 b번째 정수까지 중에서 제일 작은 정수, 또는 제일 큰 정수를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a, b의 쌍이 M(1 ≤ M ≤ 100,000)개 주어졌을 때는 어려운 문제가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해 보자. 여기서 a번째라는 것은 입력되는 순서로 a번째라는 이야기이다. 예를 들어 a=1, b=3이라면 입력된 순서대로 1번, 2번, 3번 정수 중에서 최소, 최댓값을 찾아야 한다. 각각의 정수들은 1이상 1,000,000,000이하의 값을 갖는다. 입력 첫째 줄에 N, M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N개의 정수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
- Total
- Today
- Yesterday
- 크론탭
- AWS
- 세션불일치
- 쉘스크립트
- 딥러닝책
- 자바 인강
- 환경세팅
- 주피터노트북 설치
- 자바
- 마크다운
- pycharm
- 참고 링크
- 유용한웹사이트
- 자바인강
- 자스계의백과사전
- 딥러닝
-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기술
- EC2
- 혁펜하임
- CKA
- 자바 인강이 듣고 싶다면 => https://bit.ly/3ilMbIO
- 쿠버네티스
- hot
- 디비
- https://cupjoo.tistory.com/96
- linter
- 언제나 함께해요
- 패스트 캠퍼스
- 파이참
- 패스트캠퍼스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