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시작은 문자 출력하기(Hello World) 고전적이지만 "hello world" 단순출력부터 시작해보자. 파일 명을 hello.sh 로 만들고 실행해보자. 안되면 퍼미션을 변경해야하는데 뭔지 모르면 chmod 700 hello.sh 를 해보다. 참고: echo : 문장을 출력하는데 자동으로 줄바꿈됨 printf: C 언어랑 비극함. 주석(Comments) # 기호로 시작하면 주석이다.마자 함수(Function) 형식은 다른 언어와 차이가 없다. 그러나 function 은 생략해도된다. 함수명을 쓰면 함수가 호출되는데, 주의할 것은 호출코드가 함수코드보다 반드시 뒤에 있어야한다. string_test(){ echo "string test" } function string_test2(){ echo "s..
데이터 분석을위한 Python , 2nd Edition, Wes McKinney (O'Reilly) Data Science from Scratch , 2nd Edition, by Joel Grus (O'Reilly) Andreas C. Müller와 Sarah Guido (O'Reilly)의 Python 을 사용한 기계 학습 소개 Aurélien Géron (O'Reilly)의 Scikit-Learn, Keras, TensorFlow 2nd Edition을 사용한 실습 머신 러닝 Kubernetes : Brendan Burns et al. (오라일리) Holden Karau 외 학습 Spark (오라일리) 기계 학습 을 위한 기능 엔지니어링 ( Alice Zheng 및 Amanda Casari (O'Re..
hadoop haddop fs 와 hdfs dfs 명령의 차이 hadoop fs fs는 로컬, HDFS 등과 같은 파일 시스템을 가르킬 수 있는 일반 파일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로컬 FS, (S) FTP, S3와 같은 다른 파일 시스템을 처리할 때 사용할 수 있다. hadoop dfs dfs 는 HDFS에만 해당됩니다. HDFS 와 관련해 작동합니다. 이것은 더이상 사용되지 않고, 대신 hdfs dfs 를 이용해야한다. hfs dfs 두 번째 즉, HDFS와 관연된 모든 작업에서 작동하고, haddop dfs 대신 권장되는 명령어이다.
#새로운 session 생성 tmux new -s -n #session 이름 수정 ctrl + b, $ #session 종료는 tmux에서 exit #session 중단하기 ctrl + b, d #session 목록 보기 tmux ls #session 다시 시작 tmux attach -t #페이지 이동 alt + up, down #window 생성 ctrl + b, c #window 이름 수정 ctrl + b, , #window 종료 ctrl + d #window 이동 ctrl + b, 0-9 : window number n : next p : prev w : window selector #pane 나누기 ctrl + b, % : 세로 분할 " : 가로 분할 #pane 이동 ctrl + b, q : nu..
HTTP 와 HTTPS 의 차이점은 보안이 좀 더 강화되었다는 것이다. 현재 Lets encrypt 같은 무료 HTTPS 인증서부터 다양한 HTTPS 인증서 발급 방법이 있는데 그렇다면 그들의 차이점이 있을까? 이번 시간에는 HTTPS 등급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사이트 HTTPS 인증서 확인 예시로 가져온 사이트는 애플이다.크롬 브라우저에서 https 가 인증되었다는 표시인 저 를 클릭하면 현재 도메인에서 사용되는 인증서의 종류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인증서 뿐만아니라 js 허용 여부, 사용 쿠키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보는 바와 같이 발급자, 유효기간, 발급 대상 등의 인증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인증서 등급 확인 그렇다면, 인증서에 등급을 매길 수 있을까? https:..
파레토의 법칙 파레토 법칙( - 法則, 영어: Pareto principle, law of the vital few, principle of factor sparsity) 또는 80 대 20법칙(영어: 80–20 rule)은 '전체 결과의80%가 전체 원인의20%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가리킨다. 롱테일의 법칙 파레토 법칙에 의한 80:20의 집중현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에서는 발생확률 혹은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이 무시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인터넷과 새로운 물류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 부분도 경제적으로 의미가 있을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롱테일이라고 한다. USE 보통 이전의 기업에서는 파레토의 법칙을 이용한 전략을 많이 취했다. 즉, 기업에서는 상위 20% 가 전체 매출의 80%를..
- Total
- Today
- Yesterday
- 참고 링크
- 패스트 캠퍼스
- 유용한웹사이트
- 자바인강
- 세션불일치
- 언제나 함께해요
- 환경세팅
- 크론탭
- linter
- 딥러닝
-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기술
- 자바 인강
- CKA
- 자스계의백과사전
- 쉘스크립트
- 혁펜하임
- 자바 인강이 듣고 싶다면 => https://bit.ly/3ilMbIO
- AWS
- 자바
- 패스트캠퍼스
- 딥러닝책
- https://cupjoo.tistory.com/96
- 주피터노트북 설치
- 쿠버네티스
- EC2
- 마크다운
- 디비
- hot
- 파이참
- pycharm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