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널리 잘 알려진 자료구조 중 최소 힙이라는 것이 있다. 최소 힙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산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배열에 자연수 x를 넣는다.
- 배열에서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고, 그 값을 배열에서 제거한다.
프로그램은 처음에 비어있는 배열에서 시작하게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연산의 개수 N(1≤N≤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연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수 x가 주어진다. 만약 x가 자연수라면 배열에 x라는 값을 넣는(추가하는) 연산이고, x가 0이라면 배열에서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고 그 값을 배열에서 제거하는 경우이다. 입력되는 자연수는 2^31보다 작다.
출력
입력에서 0이 주어진 회수만큼 답을 출력한다. 만약 배열이 비어 있는 경우인데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라고 한 경우에는 0을 출력하면 된다.
문제 풀이 방법
- 최소 힙의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한다.
- 파이썬의 heapq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면 간단히 힙을 구현할 수 있다.
import heapq
n = int(input())
heap=[]
result=[]
for _ in range(n):
data=int(input())
if data ==0:
if heap:
result.append(heapq.heappop(heap))
else:
result.append(0)
else:
heapq.heappush(heap, data)
for data in result:
print(data)
class Heap:
def __init__(self, data):
self.heap_array = list()
self.heap_array.append(None)
self.heap_array.append(data)
def move_up(self, inserted_idx):
if inserted_idx<=1:
return False
parent_idx = inserted_idx //2
if self.heap_array[inserted_idx]< self.heap_array[parent_idx]: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def insert(self, data):
if len(self.heap_array) ==0:
self.heap_array.append(None)
self.heap_array.append(data)
return True
self.heap_array.append(data)
inserted_idx = len(self.heap_array)-1
while self.move_up(inserted_idx): # 부모노드와의 비교
parent_idx = inserted_idx//2
self.heap_array[inserted_idx] , self.heap_array[parent_idx]=self.heap_array[parent_idx],self.heap_array[inserted_idx]
inserted_idx=parent_idx
return True
def move_down(self, popped_idx):
left_child_popped_idx = popped_idx*2
right_child_popped_idx = popped_idx*2+1
# case 1: 왼쪽 자식 노드도 없을때
if left_child_popped_idx >=len(self.heap_array):
return False
# case 2: 오른쪽 자식 노드만 없을때
elif right_child_popped_idx >=len(self.heap_array):
if self.heap_array[popped_idx] > self.heap_array[left_child_popped_idx]: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 case 3: 왼쪽, 오르쪽 자식 모두 있을때
else:
# 왼쪽이 더 큰경우
if self.heap_array[left_child_popped_idx]< self.heap_array[right_child_popped_idx]:
if self.heap_array[popped_idx] > self.heap_array[left_child_popped_idx]: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else:
# 오른쪽이 더 큰 경우
if self.heap_array[popped_idx] > self.heap_array[right_child_popped_idx]: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def pop(self):
# 원리: 맥스힙의 pop 은 root 를 삭제하는 것이다.
# 구현 원리는 맨 최상단 root 를 tail 위치의 노드를 복사해 넣고, 마지막 노드를 삭제한 후, 정렬을 해주면 된다.
if len(self.heap_array)<=1: # pop 할것이 없는 루트 노드
print(0)
return None
returned_data = self.heap_array[1]
self.heap_array[1] =self.heap_array[-1]
del self.heap_array[-1]
popped_idx =1
while self.move_down( popped_idx):
left_child_popped_idx = popped_idx*2
right_child_popped_idx = popped_idx*2+1
# case 1: 왼쪽 자식 노드도 없을때
if left_child_popped_idx >=len(self.heap_array):
pass # 신경 안쓰면 됨
# case 2: 오른쪽 자식 노드만 없을때
elif right_child_popped_idx >=len(self.heap_array):
if self.heap_array[popped_idx] > self.heap_array[left_child_popped_idx]:
self.heap_array[popped_idx],self.heap_array[left_child_popped_idx]=self.heap_array[left_child_popped_idx],self.heap_array[popped_idx]
popped_idx=left_child_popped_idx
# case 3: 왼쪽, 오르쪽 자식 모두 있을때
else:
# 왼쪽이 더 큰경우
if self.heap_array[left_child_popped_idx]< self.heap_array[right_child_popped_idx]:
if self.heap_array[popped_idx] > self.heap_array[left_child_popped_idx]:
self.heap_array[popped_idx],self.heap_array[left_child_popped_idx]=self.heap_array[left_child_popped_idx],self.heap_array[popped_idx]
popped_idx=left_child_popped_idx
else:
# 오른쪽이 더 큰 경우
if self.heap_array[popped_idx] > self.heap_array[right_child_popped_idx]:
self.heap_array[popped_idx],self.heap_array[right_child_popped_idx]=self.heap_array[right_child_popped_idx],self.heap_array[popped_idx]
popped_idx=right_child_popped_idx
print(returned_data)
return returned_data
N = int(input())
heap =-1
for i in range(N):
a=int(input())
if heap==-1:
# print('[]')
if a==0:
print(0)
else:
heap = Heap(a)
else:
if a==0:
heap.pop()
else:
heap.insert(a)
# print(heap.heap_array)
반응형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766번 문제집 파이썬 : 위상정렬 (3) | 2020.10.13 |
---|---|
백준 1715번 카드 정렬하기 (0) | 2020.10.12 |
max heap 구현 파이썬 (0) | 2020.10.12 |
백준 트리의 높이와 너비 2250번 파이썬 (0) | 2020.10.07 |
백준 1991 트리 순회 파이썬 (0) | 2020.10.07 |